Business
열병합발전
열병합발전이란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하여 에너지 이용률을 높이는 발전입니다.
한화에너지는 여수국가산업단지 및 군산2국가산업단지 입주 기업에 양질의 전기와 열을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관련업체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유틸리티 공급의 안정성 확보와 더불어 최신 기술을 기반으로 고효율 친환경 시스템 구현을 통해 국가적 에너지 이용 효율화 및
절감정책에 적극 부응하고 있습니다.
열병합발전 프로세스 Combined Heat & Power Plant Process
Step1
Water Treatment
공업용수를 공급받아 용수 Tank에 저장한 후 부유물을 제거하고, 활성탄 필터, 이온교환 수지,
MBP 등의 정수 과정을 거쳐 고압보일러 급수를 생산하여 공급합니다.
Step2
Coal Handling System
광양항을 통하여 들여온 유연탄을 트럭을 이용하여 육상으로 여수공장과 군산공장으로 운송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운송된 유연탄은 Coal Silo에 저장되고 Conveyor Belt System을 이용 보일러에 투입됩니다.
Step3
CFBC Boiler
층물질(모래, 회재)이 충진된 연소로에 석탄을 공급하고 연소공기는 연소로 하단 분산 판을 통해
고속 주입하여 입자가 부유상태에서 순환되면서 연소되는 방식의 보일러입니다.
지역 | 용량 | 대수 | 특성 |
---|---|---|---|
여수 | 400 t/h | 3기 | 질소산화물 발생량이 적고, 연소효율이 높음 |
250 t/h | 1기 | ||
군산 | 250 t/h | 2기 |
Step4
ESP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분진이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계층에 배기가스를 통과시켜 전기적으로 분진을 포집하는 장치입니다.
Step5
Steam Turbine
압축성 유체(증기, 가스)흐름을 이용하여 충동력, 반동력으로 회전력을 얻는 장치입니다.
Inlet Steam Condition |
Turbine Outlet | ||
---|---|---|---|
1추기 | 2추기 | 3추기 | |
124 kgf/cm2 540 ℃ |
43 kgf/cm2 80 t/h |
20 kgf/cm2 80 t/h |
12 kgf/cm2 156 t/h |
Step6
Generator
증기터빈의 고속도 회전을 통해 발전기에서 전기를 생산하며,
발전기의 대형화로 기기 효율을 높여 에너지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있습니다.
지역 | TYPE | 출력 | 대수 |
---|---|---|---|
여수 |
Single Casing, Condensing Extraction |
125.0 MW | 2기 |
군산 | 123.0 MW | 1기 |
Step7
Transformer
전자기유도현상을 이용하여 교류의 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변화시키는 장치입니다.
-
1. 정격 전압
- 고압권선 : 154 kV
- 저압권선 : 13.1 kV
-
2. 정격 용량
- 160/180 MVA(FOA)
Step8
Cooling Tower
응축기에 사용하는 냉각용수를 재사용하기 위하여 실외공기와 직접 접촉시켜 냉각하는 열 교환 장치 입니다.
군산열병합발전 증설 Gunsan Plant Expansion
군산2국가산업단지 입주 기업의 열 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군산공장 증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군산공장 전기 및 열 생산규모 1.8배 확대
- 안정적인 열공급으로 산업단지 입주 기업 경쟁력 제고
- 고용증대, 운반·관리·정비·수리 등 협력업체 동반 성장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 2013년 6월 집단에너지사업 변경허가
- 2014년 5월 환경영향평가 협의 완료
- 2015년 1월 - 2017년 12월 증설 공사 진행
- 2018년 1월 상업생산 예정
태양광발전
태양광발전은 태양의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방법으로 무한한 청정 에너지원인 태양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세계 각국에서는 신·재생에너지 관련 정책을 수립하여 태양광발전사업 확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에너지사업 다각화의 일환으로 국·내외 태양광발전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일본 오이타현 키츠키시 지역의 24 MW 규모의 태양광발전사업에 참여하였습니다.
또한 유럽, 동남아시아, 미주 지역 등으로도 태양광발전사업을 확대하여 태양광 IPP(Independent Power Producer)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할 계획입니다.
신규에너지
-
신·재생
에너지 -
바이오매스
-
최근 전세계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어,
이에 한화에너지는 바이오에너지사업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바이오에너지는 바이오매스 연료를 직접 사용하거나 생물·화학·물리적 변화를 통해
여러 형태의 연료로 만들어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입니다.목재류 바이오매스
바이오매스란 목재류, 곡물류, 가축분뇨와 같이
식물체와 동물체를 포함한 생물유기체를 말하며
당사는 원료가 풍부하고 식량가격 폭등과 무관한
목재류를 이용한 팰릿 연료를 생산할 계획입니다.팰릿 연료
바이오매스 연료를 이용하면 화석연료 이용을
줄이면서 온실가스 저감이 가능해집니다. 당사는
열병합발전사업을 통해 국가경쟁력을 높이는데
이바지하면서 지구환경을 한번 더 생각하는
그린에너지 기업으로 성장해가고 있습니다. -
최근 전세계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어,
-
민간발전
사업 -
당사는 높은 전력수요 및 IPP 사업환경을 갖춘 국가에서 발전사업기회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IPP 사업은 국가 기간산업인 전력산업에 참여하여 현지 전력회사와
장기 전력공급계약(PPA)을 맺고 발전소를 지은 후 발전사업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IPP 사업은 크게 전기만을 생산하는 발전사업과 산업단지 내에서
전기 및 열을 함께 생산하는 집단에너지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집단에너지사업
-
생산한 전기는 현지 전력회사에게 판매하거나
산업단지 입주 기업에게
판매하는 것이며, 동시에 생산한 열은
산업단지 입주 기업에게 판매합니다.
발전사업
-
생산한 전기를 PPA 계약을 맺은
현지 전력회사에 판매하는 것입니다.
PPA : Power Purchase Agreement
당사는 IPP 사업성이 확인된 국가에서
발전사업 기회를 발굴하여 국내를 넘어
해외로 발전사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
생산한 전기는 현지 전력회사에게 판매하거나
B2C
한화에너지의 새로운 성장동력인 B2C사업은 태양광 생활용품 사업과 전력 소매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태양광 생활용품은 현재 재해, 아웃도어, 방위산업 및 오프그리드(Off-grid)를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향후 모든 생활 영역으로 그 용도가
확장될 것이라 전망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태양광 생활용품 사업을 위한 플랫폼 개설을 진행하고 펀드투자 및 인큐베이팅 등을 통한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을 바탕으로 해외진출도 적극 추진할 것입니다.
-
태양광
생황용품 사업 -
-
전력 소매시장
민영화 -
2016년 전력 소매시장이 민영화되는 일본을 필두로 해외 전력 소매사업 진출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재생가능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전원의 확보와 고객층 확보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 방안이 중점 검토 사항입니다.
해외에서의 사업경험을 발판으로 향후 예상되는 국내 전력시장 민영화에 대한 준비도 진행할 계획입니다.
에코 그린에너지
그린에너지는 EU-ETS에서 인정하는 효율이 높고
환경친화적인 최신 열병합발전설비로 집단에너지사업을 운영하며,
공정 개선 및 효율화 투자를 통해
2014년 한 해 동안 899,135tCo2-eq의 온실가스를 절감하였습니다.
한화에너지의 온실가스 절감량 비교한 값
- 제품탄소배출량 : 컴퓨터 90 g/h, 자동차 105 g/km(대형/하이브리드), TV 88 g/h